2008년 7월 9일 수요일

DNS-323 사용기 입니다.^^














DNS-323
사용기

D-Link 네트워크 스토리지 DNS-323 사용기 입니다.
먼저 제품 사양을
살펴보겠습니다.

주요 기능
:
- 2개 SATA 하드 드라이브 베이
- 기가 이더넷 지원
- 내장형 FTP 서버 및
웹서버 , SMTP , iTunes , VPNP AV 서버 탑재
- 사용자와 그룹마다 저장공간 할당
- USB(2.0) 프린터 서버
지원
- Raid 0.1 지원








제품 설명
:
주요기능
2 개의 3.5 인치 SATA-standard 하드디스크 장착 가능
10/100/1000 Gigabit
Ethernet Port
USB Print Server Port

인터넷, 내부네트워크
통한 안전한 파일 공유

DNS-323 2-Bay SATA 네트워크 스토리지는 문서, 이미지, 영상 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연결이 되어 있다면 탑재되어 있는 FTP 서버 솔루션을 통하여 데이터에 대한 접근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용이한 접근성 뿐만 아니라 데이터에 대하여 그룹별, 사용자별 보안 설정이 가능하여 읽기, 쓰기, 읽기/쓰기의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UPnP 호환 장비와의 연동으로 디지털 매체 활용 가능
음악,
사진, 동영상 등을 저장해 둘 경우, D-Link MediaLounge 와 같은 UPnP 지원 장비가 있으면, 사용자가 컴퓨터를 켜야 하는
불편함 없이 바로 저장장치에 접근하여 해당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보호,
성능, 확장성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Standard, JBOD, RAID 0, RAID 1 와 같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하드 디스크 모드를 지원합니다. 해당 모드에 따라 파일의 저장 방식을 달리 하여 데이터의 무결성 및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지원 표준 규격
IEEE 802.3
IEEE
802.3u
IEEE 802.3ab

PORTS
10/100/1000 Gigabit Ethernet Port
USB
Print Server Port
Power
E-mail 알림
Defrag
전원 관리

장치 관리
Internet Explorer v6 or other Java-enabled
browser



2개의 SATA 하드를 연결할 수 있는 제품이고 기가비트 네트워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저는 삼성 500GB 하드 2개를 연결하여 사용해보겠습니다.

설치환경


인터넷 공유기는 DIR-100 이고 PC 2대와 DNS323을 연결하였습니다.
먼저
DNS 323 설정에 대한 설명을 한 후에 성능 테스트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DNS-323 설정

공유기와 DNS-323을 연결하고 제품과 같이 제공되는
easy_search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설치된 DNS-323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NS-323에 설정된 이름과
IP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로컬네트워크에 설치된 DNS-323은 하드디스크와 같이 매핑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는 Y드라이브로 인식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제 IP주소도 확인 했으니 본격으로 셋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1.
SETUP

1.인터넷 익스프롤러를 열어 중지를 누릅니다.
2. easy_seach를 통해 확인된
ip주소를 입력한다.
3. username 에 admin 입력하고
configuration 버튼을 눌러 접속합니다.




이제 DNS-323으로 접속이 되었습니다. 이제 각 메뉴를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림 먼저 보고
아래 설명을 간략하게 하겠습니다.


장비에 대한 기본적인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위자드 셋업으로 꼭 필요한 정보를 순서에
따라
입력할 수 있습니다.
Run Wizard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재시작 하면 설정된 값들이 저장이 됩니다.






장비의 IP주소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인터넷공유기를 사용하고 있지만
FTP서버로 운영을
하기위해 고정된 IP주소를 할당했습니다.



장비에 이름 및 작업그룹 설정입니다. 저는 작업그룹이 WORKGROUP로 되어
있습니다.



2.
ADVANCED


이 메뉴는 사용자를
등록하거나 그룹으로 사용자를 관리할 수 있는 곳입니다.
NAS는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계정을
관리하거나
그룹으로 묶어서 권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모두 공유가 가능한 데이타 라면
계정을 만들 필요가 없겠지만 중요한 데이타를
다루는 곳이라면 계정을 등록하여
관리를 해야 보안사고를 막을 수 있습니다. 이 곳에 등록된 계정으로 FTP 사용자도
관리하고 그룹별로
사용량 제한등을 하기 때문에 중요한 메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계정이 많은 경우는 반드시 설정 정보를 백업하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사용자 및 그룹별로 사용량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나 그룹별로 권한을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읽기만 가능하거나 읽고 쓰기가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FTP 서버 설정 메뉴 입니다.
최초 등록했던 사용자나 그룹에 등록된 사용자가
외부에서 FTP로 접속하여
파일을 올리거나 읽어볼 수 있습니다.



UPNP AV 서버 설정 메뉴 입니다.



iTunes 서버 설정에 관한 메뉴 입니다.



DHCP 서버 기능입니다. 요즘은 거의 다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 기능을 사용할
일은
거의 없을 것 같습니다.



LLTD를 사용하겠는지에 대한 메뉴 입니다. 설명은 위에.....





3. TOOLS



관리자 계정 관리 메뉴 입니다.



장비에 시간 설정을 할 수 있는 메뉴 입니다. NTP 서버로 부터 시간을 받아
오거나
내 컴퓨터 시간과 동기화 시킬 수 있습니다. 수동으로 입력도 가능합니다.



시스템을 재시작 하거나 초기화 할 수 있는 메뉴 입니다.
제품을 끄고 싶을 때
shutdown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본체의 버튼을 길게 눌러도 정지됨)
펌웨어에 설정된 내용을 파일로 저장하거나 불러올 수 있습니다.
사용자 계정이 많은 경우
반드시 설정을 파일로 저장하여 잘 보관해야 복잡한 작업을 줄일 수 있습니다.



제품의 펌웨어를 업그레이드 할 수 있습니다.
펌웨어 파일은 http://www.d-link.co.kr/ 이나 http://www.dlink.com/ 사이트에 받을 수 있습니다.



장비에 상태를 이메일로 받을 수 있습니다. 디스크 문제나 시스템에 중요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메일로 알려주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전원 관리 입니다. 사용하지 않을 때 꺼 놓도록 할 수 있습니다.



RAID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Standard (Individual
Disks) = 보통 상태로 사용한다.
JBOD (Linear - Combines Both Disks = 2개의 HDD를 1개로 인식하여
사용한다.
RAID 0 (Striping - Best Performance) = 데이타를 분산저장하여 속도를 높인다.
RAID 1
(Mirroring - Keeps Data Safe) = 2개의 HDD에 같은 내용을 저장한다.

설정을 하고 난 후에는 HDD를
포멧하게 됩니다. (약간의 시간 소요)




DDNS 서비스를 신청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DNS-323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유동IP로 접속이 어려운 경우 DDNS를 이용하여
어디에서든 쉽게 접속할 수 있습니다.




4. STATUS



제품의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설정에 대한 설명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NAS 라고 해서 어려울 것 같았지만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사용자가 많아지면 계정관리 등이 복잡할 수 있겠지만
이 제품이 대기업 사용자들 보다는
소규모 사용자나 네트워크저장장치가 필요한 개인유저에게 많이 판매될 제품이라 생각되기
때문에 특별히
복잡하거나 어렵게 생각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아래는 전송속도에 관한 짧은 테스트 입니다.





대용량 파일(1.40GB (1,508,190,208 바이트)(동영상 아님
;;;) 전송시 소요된 시간

공유기를 통해 연결 DNS-323 연결 (100Mbps)
3분 19초
PC 기가랜카드와 DNS-323 기가랜으로 바로 연결 : 1분
35초
PC 기가랜카드와 DNS-323 기가랜으로 바로 연결 with Jumbo Frame 설정 (7K)/1000Mb로
고정 : 1분 22초






총평

설치가 간단한 DNS323은 소규모 사업장에서 하나쯤 꼭 필요한 제품이라고 생각됩니다.
여기저기 저장된 데이타를
한 곳에 모을 수 있다는 장점과 그것으로 인해 업무 효율이 올라 간다면
이 정도 금액의 투자는 할만하다고 생각합니다.

위에
속도테스트에서 본 것과 같이 최근 기가비트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있는 사업장이 많은 만큼
JUMBOFRAME 기능을 같이 사용한다면 많은양의
데이타도 빠르고 손쉽게 백업하고 공유할 수 있습니다. 다음 편에는 자동백업 소프트웨어인 MEMEO를 이용한 백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김종수


2008년 7월 3일 목요일

디링크 10Gb 스위치 및 XFP 모듈...


점퍼코드에서 빨간 빛(광신호)가 잘 나오고 있습니다.

700m의 거리를 무선으로 연결하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랜장비입니다.

우선 700m 사이의 주변환경을 자세히 알아야 합니다.
지형의 높낮이, 주변건물 영향, 장애물 영향, 데이타 전송량 등
복합적인 요소가 걸려있기에 자세한 환경을 알아야 무선구성의
해답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브릿지 구성으로 합니다.

전화연락 주시면 상담이 가능합니다. 02-798-9114

감사합니다.


> 이장수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 제목과 같은 질문을 드립니다.
> 700미터의 거리를 무선으로 연결하고자 합니다.
> 어떤 구성으로 가능한지요?


http://www.lanjangbi.co.kr/

EAP-FAST 지원하는 무선랜카드

> 박규헌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 EAP-FAST 인증을 지원하는 무선랜카드를 찾고 있습니다.
> 귀사에서 공급이 가능한지요?


안녕하세요.

위 기능을 지원하는 랜카드로는 시스코 제품과 인텔 제품이 있습니다.

시스코 제품은 pci 타입의 랜카드로 PI21AG 라는 모델 입니다.

인텔 제품은 2200BG 제품으로 미니 PCI 타입의 제품입니다.

시스코 제품은 현재 시장에 재고가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전력선 통신장비..........

> 이형오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 안녕하세요.
> 제가 어디선가 전기선으로 네트워크가 된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 인터넷에 그런 장비가 있더라고요.
> 여기서도 그런 장비를 취급하는지 궁금합니다.
> 어떤 원리로 되는지도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전력선을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는 오래전에 출시되어 상품은 있었으나
활발하게 판매가 되고 있지는 않습니다.
직접 사용해본 결과로는 속도적인 부분과 가격적인 부분이
무선랜에 비해 장점이 적다고 생각됩니다.

댁내에 전기검침을 위해 계량기가 설치되어 있는데 계량기 내부끼리
통신이 가능하고 타 계량기 내부에 PC로는 통신이 안된다고 합니다.

자세한 기술적인 내용은 아래 사이트를 참고해 주십시요.

http://www.dmzero1.com/

감사합니다.

웹카메라에 대해 궁금해요.

> 김유진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 오른쪽에 있는 배너에 웹카메라 구입할 수 있는 건가요?
> 스펙에는 오디오 기능도 있던데 데모에서는 소리를 들을 수 없군요.
> 소리 한번 들어볼 수 있을까요?
>
> 답변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오디오 기능은 지원하고 있고 카메라에 내장된 마이크로 소리가 입력됩니다.

업무상 오디오 기능을 정지시켜 놓은 상태이므로 전화를 주시면 오디오 성능을

테스트 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무선랜 구축 관련 문의

> 백정화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 안녕하세여.
> 저희 사무실에 무선랜을 사용하려고 해요.
> 약 10명 정도 사용할 무선랜 어떤것이 좋을까요?
> 추천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10명 정도면 무선랜공유기(유무선공유기)로 충분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상품으로 한번 검토해 보세요.

DIR-615
http://www.lanjangbi.co.kr/shop/shopdetail.html?brandcode=081026000002&search=615&sort=

DWA-110
http://www.lanjangbi.co.kr/shop/shopdetail.html?brandcode=081009000017&search=615&sort=

전화 주시면 상품 설명과 견적서 보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랜장비 02-7989-114

무선랜 설치문의

> 임영호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 안녕하세요.
>
> 저희 사무실에서 사용할 무선랜 제품을 찾고 있습니다.
> 저희 사무실에 pc들 끼리만 네트워크를 연결하려고 하는데
> 도무지 어떤 걸 사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
> pc는 4~5대 가량 연결하고 pc간 네트워크만 가능하면 됩니다.
>
>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런 경우에는 무선ap와 무선랜카드만 있으시면 됩니다.

무선AP는 허브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고 무선랜카드가 설치된 PC는

무선AP로 접속하여 다른 PC들과 네트워크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PC숫자가 많지 않고 또 나중에 공유기로도 사용할 수 있는 유무선공유기로

구입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오늘 3200AP 받은

> 허영호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 안녕하세요.
>
> 보내주신 3200 잘 받았습니다. 셋팅해서 보내신 거 그대로 설치하니
> 바로 연결이 되었습니다.
> 이제 안테나만 고정하면 되는데..... 아무튼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설치가 잘 되어 다행입니다.

지향성 안테나는 방향이 중요합니다.

안테나를 고정하실 때 바람이나 진동에 방향이 어긋나지 않게

튼튼하게 고정하시면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 문의 주세요.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무선랜 문의

> 정경호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 수고많습니다.
>
> 제가 디링크 무선랜 524를 쓰고 있는데 무선랜카드를 새로
> 하나 얻었습니다. 다른 회사 제품인데 사용상에 문제가 없을 지
> 궁금해서 질의 올립니다.
>
> 답변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무선랜 제품은 브랜드와 상관없이 규격만 맞으면 서로 호환이 됩니다.

802.11b g a 이런말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 이 규격만 맞으면 모두 호환이 되고

b와 g는 서로 호환이 되고 a 는 a 끼리만 호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유선공유기에 무선공유기를 연결할 수 있나요?

> sprout6694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 유선공유기와 유무선공유기(허브로 사용)를
> 연결할때
> 크로스로 연결해줘야 하나용???



안녕하세요.

요즘 장비에 내장된 허브는 크로스나 다이렉트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연결하기 때문에 어떤 케이블을 쓰셔도 자동으로 연결됩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기가비트 크로스 케이블 이렇게 제작하세요.


^^

STP FTP 케이블 차이?????

> 장철진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 궁금..^^?


안녕하세요 랜장비 입니다.
아래 링크로 이동하시어 내용을 쭈욱~ 보시면 원하시면 답을 찾으실 수 있습니다.
복사 후 주소창에 붙여넣기 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shop/shopdetail.html?brandcode=141032000009&search=&sort=order

STP FTP 케이블 차이?????

> 장철진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 궁금..^^?


안녕하세요 랜장비 입니다.
아래 링크로 이동하시어 내용을 쭈욱~ 보시면 원하시면 답을 찾으실 수 있습니다.
복사 후 주소창에 붙여넣기 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shop/shopdetail.html?brandcode=141032000009&search=&sort=order

안테나,AP 추천바랍니다....

> 김종모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수고많으십니다.
> 에니게이트 RG-3000A 무선공유기를 쓰고 있습니다..
> 이 공유기에 기본으로 붙어있는 안테나가 5dbi인걸로 알고 있는데
> 8dbi로 바꾸고 싶은데...어떤 제품이 호환이 잘됩니까?
> 8dbi 이상되는 제품도 있습니까?
> 그리고 무선 802.11b 아이피카메라를 사용하고 있는데
> 카메라와 무선공유기 사이의 거리가 멀어 중간에 AP를 설치하려고합니다.
> 온니 AP기능만 하는놈으로 한개 추천바랍니다...
> 그럼..부탁드리구요...답멜주세요~~~


안녕하세요

ET-WM08 실내지향성안테나가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www.lanjangbi.co.kr/shop/shopdetail.html?brandcode=079001000002&search=&sort=order

좌측상품분류에서 [무선] 안테나 항목으로 이동하시면
많은 제품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11b 지원하는 AP 제품들은 거의 다 단종되어서 구하기는 어렵고
11g 제품을 사용하셔야 할 듯 싶습니다.

DWL-2100AP AccessPoint 제품을 권장해 드립니다.
제품은 좌측상품분류 [무선] 공유기/AP 항목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건물과 건물간 무선네트웍

> 엘로드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안녕하세요.
>
> 유선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는 사무실 A 건물이 있습니다.
>
> 직선거리 60m 정도의 옆 건물에는 컴퓨터가 몇 대 있지만
>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지 않은 사무실 B가 있습니다.
>
> 건물 사이에 장애물은 없습니다.
>
> 이 두 사무실을 무선랜으로 같은 네트웍으로 구성하려면
> 어떻게 해야 하는지요?
>
> pc---사무실A 허브----- AP AP-----사무실B 허브----- pc
>
> 이렇게 구성하면 되는지요?
>
> 그리고 이때 AP를 어떤 모드로 잡아야 하는지요?
>


안녕하세요

중간에 장애물이 없다면 충분히 무선으로 사용하실 수 있으며
두 지점간 AP끼리 가시거리가 확보된다면 충분합니다.

위에서 말씀해주신 구성으로 하시면 되며
두개의 AP를 브릿지모드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브릿지모드는 AP내부로 접속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2008년 7월 2일 수요일

안테나 성능차이에 대하여

> asuka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지금 dlink 624+ 제품을 사용하고있는데
> 벽과 거실을 거쳐있는 안방에서의 수신율이 너무 낮아서 자주 끊깁니다
> 해서 안테나를 교체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하려고하는데
> 이 사이트에서 실내지향성 제품을 찾다보니 EMC와 dlink제품 두개가 있더군요
> 한쪽은 2만원 한쪽은 4.4만원 가격차이가 꽤 되는데
> 이 가격차이 만큼의 성능차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그리고 dlink제품의 출력수치가 궁금하네요
>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실내에서 안테나를 교체하실 경우 장애물의 영향으로 큰 성능향상을
기대할 수 없습니다.
실내에서 수신감도가 낮아 사용이 어려우신 경우에는 AP를 추가로 구입하여
리피터모드 로 작동시켜 사용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안테나의 가격차이는 생산지와 브랜드의 차이로 단가 차이가 있습니다.

디링크 제품의 출력은 15dBm으로 50mw의 출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고성능 무선안테나에 대해서

> mylfreedom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 실내 지향성 6dB [WM-06] 이 모델이 제가 쓰는 싸이베론 Cyberon
> 540v 유무선공유기에 호환이 되는지요? 마지막 방에 있는 노트북이
> 수신률이 30-40프로인데 이걸 사용하면 70까진 올라갈수잇겟죠?
> 답변 부탁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사용은 가능하지만 수신감도가 눈에띄게 상승하지 않습니다.

약 10~20% 정도의 성능향상이 있으니 50% 정도로 올라갈 수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안테나를 사용하기 보다는

무선AP를 리피터모드로 설정하여 중간에 설치해 주시면 수신감도를

높여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랜 구축 문의 입니다.

> sung329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이번에 사무실에 무선랜을 구축하려고 합니다.
> 사무실 구조는 아래와 같고 12개의 방이 무선랜이 가능하도록 하려고 합니다.
> 제생각에는 유무선 공유기 1대와 AP 3대를 중계기로 복도쪽에 설치하면 될것같습니다.
>
> 이런 경우 어떻게 설치를 하는것이 효율적일까여?
> 추천하는 장비와 금액도 같이 부탁 드립니다.
>
>
> 즐거운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유무선공유기와 AP(리피터로 설정)를 복합하여 사용하시면
무난히 구성이 가능하리라 생각됩니다.

현재 모뎀이 설치된 곳에 유무선공유기를 설치하여 15M 떨어진
4번 방이나 5번방에서 수신이 가능하다면 추가로 설치하지 않고
수신감도가 떨어진다면 근방에 리피터를 설치해 주시면 됩니다.

건너편 11번 방 쯤이나 더 들어가서 수신감도를 확인하고
이 정도 위치에 리피터를 1대더 설치해 주시면 전체를 커버 할 수 있을것을
생각됩니다.

DI624+ 와 DWL-2000AP+ 제품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kvm스위치 문의

> 정인석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IOGEAR MiniView Micro 2port PS2 KVM Switch (GCS62)
> 위제품 kvm 스위치를 구입하려고합니다.
> 일반모니터를 노트북과 데스크탑 으로 공유하려고하는데,
> 키보드와 마우스는 각각 사용하고 모니터만 공유가 가능한가요?
> (스위치에는 모니터만 접속해서 사용, 키보드 마우스는 공유안함)
> 만약 가능하다면 전환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말씀대로 구성하기 위해서는 장비에 셀렉트 버튼이 있어야 하는데
IOGEAR GCS62에는 셀렉트 버튼이 없습니다.
키보드에서 펑션 키로 조작이 가능하니 키보드를 연결하시면
PC를 선택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제품 중에 셀렉트버튼이 있는 디링크 DKVM-2KU 나 GCS82 같은 장비를
이용하셔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무선 수신 장애 환경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 김정호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얼마전 무지향성 안테나를 2m 케이블로 연결하여 수신이 안좋아 총 3층 건물의 2층으로 이설하여
> 설치 하였는데 수신율이 조금은 나아 졌으나 인터넷은 1층과 3층에서는 할 수없는 상황입니다.
> 다른 현장의 경우 일반 안테나(기본)으로 2층 설치시 1,2,3전층에서 원활히 인터넷을 할수있었는데
> 이상하게도 이번현장에서는 도통 답이 안나옵니다. 설치시 건물2층의 바깥벽면에 수직으로 아랫방향으로
> 벽에 붙여 설치했으며 건물은 일반 콘크리트가 아닌 철 구조 가건물입니다.
> 층간은 철판으로 되어있으며 벽면은 샌드위치 판낼로 되어있습니다. 반대쪽 도로변은 고압선이 흐르며
> 안테나의 수평방향은 원활히(100m이상) 인터넷이 되지만 건물 안쪽에서는 10m떨어진곳에서도 수신감도가
> 미약하게 나타납니다.
>
> 콘크리트 구조물과 철구조물/샌드위치 판낼의 차이가 이렇게 큰 수신율 차이를 나타내는것인지 궁금합니다.
> 빠른 답변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장애물의 구조에 따라 차이가 나기 때문에 실제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 내부에도 철골이 들어가고, 실제로 영향을 많이 받는 부분은
철골의 밀도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보통 철문으로 되어 있는 경우나 층간 벽의 경우 신호가 거의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층간 구조에 어려움이 있다고 안내해 드리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장비를 추가로 설치하여 AP를 리피터모드로 작동시켜
신호를 중계하여 설치하시는 방법이 있고,
유선으로 층간을 연결하여 층당 혹은 2층당 1개의 AP를 설치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허브 문의

> 클릭닷컴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수고 많으십니다..다나와에서 검색하다 들르게 되었는데요...
>
> PC방에 사용할 허브를 찾고 있습니다...
>
> 삼콤 16471 과 넷겨FS524, 그리고 디링1024 /1026
> 이 제품들 추천하시던데
> 이 세가지 제품의 차이가 어떻게 되나요? 간단한 설명과 추천을 좀 해주세요.
>
> 그리고 더 위로 가면 고가의 제품들이 있던데 어떤면에서
> 어떻게 좋은건지 간단하게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 (초보라서 뭐가뭔지를 잘 모르겠네요.. ^^;)


안녕하세요

말씀해주신 목록의 제품들의 차이점의 거의 없습니다.
(10/100Mbps 비관리형 스위치허브들은 차이점이 거의 없습니다.)
디링크 제품만이 확장슬롯이 있어 나중에 광 제품연결하기에 좋습니다.

DES-1024R+

위 모델명을 권장해드리며 많은 피씨방에서도 사용하는 제품입니다.

그리고 더 위로 가면 나오는 고가제품들은 관리형 허브라고 해서
각 포트별로 트래픽제어, 속도제어 등등 여러가지 관리를 할 수가 있는
제품들입니다. 그러기에 가격이 상당히 높습니다.
이 관리형허브들은 큰 기업의 전산실이나 관공서 등 많은 데이타가
오고가는 환경에서 많이 사용을 합니다.
피씨방에서도 사용을 하면 좋지만 가격이 부담되기는 합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무선랜카드문의

> ksh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 PCI 무선랜 카드중 리눅스를 지원하는 제품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리눅스를 지워하는 제품의 목록입니다.

DWL-G520
DWL-AG530

DWL-G650
DWL-G660

드라이버 링크 입니다.

http://tsd.dlink.com.tw/temp/download/1008/DWLG650_G520_G630_G510_LinuxDriver_041220.tgz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AP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 김성수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예전에 한번 문의드렸었습니다만.
>
> 아직도 제대로 사용을 못해서 질문을 다시한번드려봅니다.
>
> 모델은 소니 PCWA-A500 이라는 AP 이구여
>
> 노트북으로 무선으로 세팅을 접속을 해서
>
> nat 기능 dhcp? 란걸 오토로 설정해두니
>
> 일단 무선은 됐습니다. 그런데 유선은안되더군요.
>
> 일단 설명서 그림에서는
>
> 네트워크에1에 케이블모뎀이나 dsl 모델이 연결되는 모습이 있고
>
> 네트워크2 커넥터에는 랜선이 하나나와서 허브에 연결되어
>
> 여러 데탑 컴퓨터들이 유선으로 연결되잇는 모습이 나와있습니다.
>
> 이그림으로 보면 유무선 둘다 사용가능한걸로 나오는데여
>
> 전 이 그림과 비슷하게 네트워크1에 케이블모뎀 연결
>
> 네트워크2에서는 바로 데탑에 연결해서 위와같은 세팅을
>
> 햇습니다만. 유선이 작동을안하네요. 무선은 시원하게잘되는데말이죠
>
> ap세팅창가면 nat 기능과 브릿지 선택해서 세팅하는게잇던데
>
> 둘중 어떤걸로 해야 유무선 둘다될가여? 만약 정 ap세팅이안된다면
>
> 데스크탑에 무선랜 pci 방식으로 다는게 날가요.
>
> 아니면 그냥 유선공유기 하나 사서.
>
> 케이블모뎀의 랜선을 유선공유기에 연결하고 유선공유기에서
>
> 선을 두개 빼서 한개는 데탑에 한개는 ap에 이렇게 설치하면
>
> 유무선 둘다 가능할가요? 너무 답답해서 이렇게 글 남깁니다.ㅠ_ㅠ
>
> 어떻게 해야 효율적으로 할수 있을지 방법좀 알려주시면
>
> 고맙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터넷공유 기능을 NAT 라고 부릅니다.

NAT 를 조정하여 인터넷공유 설정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인터넷이 작동되는 IP주소가 공유기로 접속하는 주소와 같은 대역으로

잡혔는지 확인하여 보세요. PC에 주소가 다른 대역이면 NAT 설정이

되지 않고 AP로만 작동이 되고 있는 경우라고 생각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cisco 350 드라이버 부탁합니다.

> 윤석조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정말 감사합니다.
> 저는 삼성 센스 830을 사용중이며, os는 win98se를 사용중입니다.
> 메일 주소는 ysjljk@zaigen.co.kr 입니다.
> 다시 한번 감사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래 링크를 가시면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용량이 커서 메일로는 전송이 안됩니다.

https://www.cisco.com/pcgi-bin/Software/Tablebuild/doftp.pl?sla=Yes&ftpfile=cisco/crypto/3DES/wireless/aironet/wizard/windows/Win-Client-802.11a-b-Ins-Wizard-v12.exe&code=&tbtype=aironet_wizard_windows&crypto=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KVM스위치 설정

> 이상찬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 D-Link DKVM-2KU [2포트 KVM 스위치]를 설치했는데
> 한쪽 모니터만 켜지고 나머지 모니터와 키보드 마우스등이
> 반응이 없습니다 특별한 설정이 있나요?
> 하나는 팬티엄4 윈도우XP구요
> 하나는 미니맥 10.38입니다
> 제품이상인지 아니면 설정방법 부탁합니다...


안녕하세요.

DKVM-2KU 제품의 MAC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Re: 무선랜 질문입니다.. 막히네요

> 김건우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안녕하세요
>
> 우선 제가 사용하고 있는 시스템을 설명 하겠습니다.
>
> [라우터]-[허브]-[유무선공유기(d-link 624+)-[몬스터] 이렇게 있습니다
>
> 허브에서 wan으로 가지않고 일반포트로 사용하고있습니다
>
> 유선은 인터넷이 되는데 지금 무선이 잡히질 안네여 처음에 잡혔는데..
>
> 확실히 하는 방법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DI-624+ 제품의 SSID를 한번 변경하여 보십시요.
그리고 PC에서 프로필을 수동으로 등록하여 접속시 검색하지 않고
바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설정을 해보십시요.

간혹 SSID가 검색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이런 경우에는 프로필을
등록해 놓고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랜선의 최대거리는?

> 전상우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사무실과 집과의 거리가 약100m정도됩니다.
> 랜선을 설치할까하는데 데이타손실이 많을듯싶어
> 문의 드립니다.
> 일반 랜케이블 최대전송길이가 100m로 알고 있습니다.
> 가능할까요?
> 그리고 허브가 리피터의 기능을 할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실외로 UTP 를 연결하는 겨웅 70~80미터도 보장하기 어렵습니다.
이미 포설이 되어 있는 경우라면 양끝 노드의 속도를 10Mb로 고정하여
사용해 보십시요.

중간에 허브를 놔서 연결이 가능하나 어댑터 전원을 사용하는
제품으로는 어려우니 파워가 내장된 상품을 이용하여 확장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실제로 150미터정도를 중간에 허브를 놓고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었으니
충분히 가능하리라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케이블 관련 문의

> jmavie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 기가빗 랜을 사용하려고 합니다. 일반 랜케이블(10/100)을 사용하나요
>
> 아니면 기가빗 전용 케이블을 사용해야 합니까?
>
>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기가비트 이더넷을 구성할 수 있는 방법은 UTP 를 이용하는 방법과
FIBER 케이블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UTP 의 경우 CAT6로 공장에서 제작된 케이블을 권장하지만 일반
CAT5 케이블로도 전송이 가능합니다. 약 10% 정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FIBER케이블의 경우 장비들의 가격이 비싸지만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무선랜을 구성하고싶습니다

> 전제준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일단 디링크624모델로 공유기는 점찍어논상태인대요...
>
> 무선랜카드를 어떤걸 구입해야좋을지 모르겟내요
>
> ZIO WLB2154USB 54Mbps USB
>
> 요넘이 좀 땡기기는한대..
>
> 현제 케이블 모뎀을 쓰는중입니다 이걸 공유기를 통해서 무선으로 다른방의
>
> 컴터와 넷트웍공유와 인터넷공유를 하고싶은데 가능할런지요?
>
> 아참 추가로 유선으로 엑박도 연결해야대는군요 ^^;
>
> usb랜카드 쓸만할지.. 위에 재품말이죠 인터넷공유와 넷트웍공유에 무리가없을지
>
> 아니면 쥔장님이 추천하는 카드가있는지 ^^:(가격은 비슷한정도의물건으로)
>
> 아참.. 위에구성을 하고싶을때 추가적으로 장비가 필요한게먼지..
>
> 방의거리는 거리 5미터~10미터 정도 벽한 2-3개정도내요
> 같은층이구요
>
> 본pc(공유기)-다른방(무선)
> -거실엑박(유선)
>
> 크로스케이블 15메다짜리로 엑박과 연결중인대
>
> 공유기에서도 크로스케이블사용가능할지요?(첨써보는거라 모르는게많내요)



안녕하세요.

랜카드는 브랜드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 지오 제품도 WIFI 인증을 받은 제품이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습니다.
보통의 제품의 경우 아파트 기준으로 30평 정도에서 무난하게
작동이 됩니다. 그 이상이 되는 경우라면 공유기의 위치나 랜카드에
위치에 따라 성능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X-BOX를 DI-624+ 와 연결할때 사용하는 케이블은 크로스나 다이렉트
구분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이거말고는없나요

> 익명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다른모델은없나요? 그 회색프라스틱판에 꽂는거맞죠? 래핑기(돌리는거이름이이거맞나요? 기억이안나서리)는 판매안하나요?
>
>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
>
>
> > [랜장비]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 > > 익명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
> > > mdf나 idf단자함에서 작업할때 사용하는도구는뭡니까?
> > >
> > > 래핑기는 감는걸로알고있는데..
> > >
> > > 어떤공구를써서 안에다 넣는지요??
> >
> >
> > [랜장비]입니다.
> > 이 제품을 확인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 >
> > "LAN 또는 전화공사시 4~5쌍의 UTP(24Awg)를 한번에 삽입할 때
> > 사용합니다.
> >
> > 칼날이 포합된 터미널 블록은 교체 할 수도 있고 반대로 사용할
> > 수도 있습니다. Figure 1에 보듯이 칼날을 함께 사용하면 단자를
> > 눌러주면서 Wire 컷팅까지 할 때 사용하는 것이고 Figure 2에서
> > 처럼 단자만 삽입할 수도 있습니다. 9kgs 미만의 힘으로 터니널
> > 블록을 분리할 수도 있습니다. "
>
>

안녕하세요.
위에 답변 드린 제품 외에 선 한가닥씩 작업이 가능한 HT-314 가 있습니다.
래핑기는 선을 감기위한 작업도구로 구입이 가능합니다.

가격은 4,000 입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LP 브라켓을 제공하는 랜카드?

> LP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제목 대로입니다.
>
> 저런 제품이 무엇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저희 상품중에는 DFE-530TX 제품과 DGE-530T 제품이 있습니다.

좌측 상품분류에 랜카드에 가시면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무선공유기 접속 문제,,,

> 박재범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얼마전까지 무선공유기를 잘 쓰고 있는데요,,
>
> 갑자기 노트북으로 무선접속이 안되네요,,
>
> 네스팟이 잡힌다고 하고,,,
>
> 624+ 사용하고 있구요,,,
>
> 어떻게 해결점을 찾아야 하나요?
>
> 노트북쪽이 문제인가요? 아니면 공유기쪽?


안녕하세요

잘 사용하시다가 갑자기 안되는경우라면 무선랜카드의 설정이
잘못되어서 그럴수도 있습니다.

DI-624+ SSID 기본값이 default 로 되어있는지 확인합니다.
(유선으로 우선 192.168.0.1 로 접속하셔서 확인합니다.)
그런다음 무선랜카드에서 AP 신호 검색을 하셔서 위의 SSID 이름이
나타나면 접속을 시도해봅니다.

접속이 안된다면 DI-624+ 최신펌웨어를 업데이트 해보시길 바랍니다.
(www.d-link.co.kr 자료실에 가시면 있습니다.)

공유기 리셋도 해보시길 바랍니다.
(공유기 전원부 연결 옆에 보시면 조그마한 구멍이 보입니다.
리셋버튼을 약 10~15초 정도 누르고 계시다가 놔주시면 됩니다.)

자세한 상담은 월요일 D-Link 고객지원센터를 통화하시면
상담이 가능합니다. 02-749-3965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아 또 질문드립니다~

> 안기표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에 .그러니까 지금 거실의 전화선을 연결해서 엔토피아로
>
> 사용하고 있으니 외장형모뎀 등등 전부 띠어서
>
> 방의 전화선에 연결해서 사용해도 돼나요?


안녕하세요

엔토피아 서비스상품 같은경우는 외장형모뎀이 필요없는 서비스 입니다.
엔토피아 같은 경우는 전화선을 이용하는게 아니라 벽쪽에서 바로 랜선이
나오는 형태입니다.

사용하시는 확실한 인터넷상품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엔토피아가 맞다면 벽에서 나오는 랜선을 바로 인터넷공유기 뒷면에 보이는
WAN포트에 연결하시면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외장형모뎀을 사용하는경우라면 외장형모뎀에서 나오는 랜선을 인터넷공유기
뒷면의 WAN포트에 연결하시면 됩니다.

중요한 점은... 어느 방이든 인터넷라인이 나오는곳에 인터넷공유기를
연결하시면 사용이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유무선 장비및 벽 한두개는 괜찮은가요?

> 홍성표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vdsl을 쓰는데 컴두대를 연결하려구 합니다.
> 한대는 유선 한대는 무선..
> 필요한 장비는 유무선 공유기(ip공유기는 있는데 집사람이 선 보이는걸
> 싫어해요.ip공유기랑 기능은 거의 같은가요?)그리구, 무선랜카드pci,
> 추천해 주세요
> 참고로 애들방에 vdsl선이 들어와서 컴을 놓고 옆으로 화장실,옆으로
> 제방 컴입니다.
> 벽이 3개네요.
> 집은 33평 아파트 입니다.
> 만약 않되면 방법 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무선으로 구축하시려면 아래와 같이 제품이 있으면 됩니다.

유무선인터넷공유기 1개
무선랜카드 1개 (사용할 컴퓨터 대수에 맞게끔 구입)

보통 가정집 기준으로 40평정도까지는 무난하게 잘 됩니다.
그러나 벽 3개라면 수신율이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이럴경우는 성능이 좋은 무선랜카드 및 무선랜카드에
무선안테나를 확장하셔야 합니다.

권장해드리는 제품은

D-Link 제품과 WM06 실내지향성 안테나를 권장해 드립니다.

좌측 상품분류에 가시면

[무선] 랜카드
[무선] 공유기/AP
[무선] 안테나

항목에 가시면 제품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어떤 방법을 써야 될까요

> 어떻게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지금 컴퓨터 3대를 각각 따로 인터넷에 물리다 보니 요금이 장난이 아니어서 이번에 무선 공유기를 한번 알아보고 있습니다.
> 하지만 각각의 컴퓨터간에 거리가 있고 벽들이 있어서 힘들것도 같습니다.
> 고민고민하다고 교회 구조를 그림으로 그려 문의 드리고자 합니다.
> 그림의 보이시는 대로 4대정도 쓸려고 합니다.
> 벽과 거리는 그림에 기록했습니다.
> 그림을 보시고 최상의 방법(무선공유기든 랜선을 깔든)을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혹시 랜선작업을 해야된다면 비용이 얼마나 할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위 그림 구조상 무선은 어렵습니다.
무선랜 특성상 주변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기에 어렵습니다.

무선으로 하시려면 각 층으로 랜선이 나와서 AP 랑 연결이 되면
층마다 무선으로 연결하실 수 있으나 비용이 많이 듭니다.
(층마다 AP 설치)

저렴한 구축 방법은 인터넷라인이 들어오는 곳에 인터넷공유기를
설치하시고 인터넷공유기에 4개의 포트가 있으니 각 1개씩 층마다
랜선으로 연결하시면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선으로 구축시 10만원 미만으로 예상되며
무선으로 구축시 50만원 정도로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랜툴 문의합니다

> gomulcom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랜툴 HT-500R 모델은
>
> 마크가 H 에서 G 로 바꼈다는데
>
> 대만산이면 회사가 어느 회사 인가요?
>
> 200R과 500R 모델은 어느회사꺼가 인지도 높은가요?
>
>
>
>
> 똑같은 모양이고 모델번호인데 이름만 다르네요
>
> HT-200R 모델은 4p~10p까지 할수 있던데
>
> 10p는 무슨 용도인가요? 앞으로 많이 쓰이는건가요?
>
>


안녕하세요

랜툴같은경우는 OEM 방식이 많습니다.

'H' , 'G' 는 국내 수입사에 따라서 붙여진 모델명이며
제품은 똑같은 제품들입니다.
(그러나 유통중인 제품중 가짜 제품들도 있으니
구입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0p 는 랜케이블안의 선 10가닥을 의미하며
10p 로 나오는 랜케이블이 있습니다.
많이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무선 네트워크 구성에 대한 질문 드립니다.

> 공정만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어제 넷기어 614v5 유무선 라우터를 구매해서
>
> 유무선 인터넷 공유 환경을 구축했습니다
> 한대와는 유선으로 연결되있구요
> 다른 한대와는 무선랜카드(ZIO 2154 P{CI)로 연결했구요.
> 둘다 인터넷은 잘 됩니다.
>
> 문제점이 두가지 인데요.
>
> 1. 두 컴퓨터를 소규모 네트워크로 파일,폴더까지
> 전부 완전 공유로 설정하고 싶은데요. 제가 실력이 부족한걸까요;
> 도저희 설정을 못잡겟습니다.;
>
> 2. 그리고 인터넷이 자주 끊깁니다.
> 10분에 한번꼴로 끊기네요. 그럴땐 다시 라우터를 리셋해줘야하고.
> (이건 펌웨어 문제인듯.??;; 업데이트를 한번 해봐야겠네요./)


[랜장비]입니다.
넷기어 제품의 경우 넷기어콜센터에서 기술지원을 받으실 수 있는
사항들입니다..^^ 명일 콜센터로 전화하시면 엔지니어의 자세한
상담과 기술지원이 가능합니다.

넷기어 www.netgear.co.kr

콜센터 080-638-4327

리피터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 nexteam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안테나에 대해서 검색해 보던중 또 다른 AP를 사용해 리피터로 사용하면 대역을 높일 수 있다고 봤습니다.
>
> 저한테 di-624와 di-614+ 두개의 공유기가 있는데, 이 두개의 무선 공유기로도 리피터를 설정해 사용할 수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http://www.lanjangbi.co.kr/shop/shopdetail.html?brandcode=085001000013&search=&sort=brandname#5

위 링크로 이동하시면 리피터 및 AP의 관한 기능들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리피트 기능을 사용하면 송수신거리확장의 개념으로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선으로 데이타를 받아 다시 무선으로 보내주기 때문에
속도가 절반을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리피터 기능보다는 브릿지 기능을 권장해드립니다.

유무선인터넷공유기의 기능으로는 리피터 기능을 이용하실 수 없고
AP 전용장비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AP 전용장비에서도 지원이 안되는 제품도 있으니 구매시 확인을 하셔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KVM 스위치 관련 문의

> 이상묵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안녕하세요
> KVM 스위치를 한개 구매하려고 하는데요...
> D-Link DKVM-2KU [2포트 KVM 스위치]와 ATEN CS-82A
> 둘 중에 어느것이 성능이 우수한가요?
> 아니면 다른 추천해주실만한 상품은 없는지요?
>
> 사용처는 서버용이 아닌 일반 PC 2대입니다.
> 모니터 해상도는 1280*1024이상은 지원해주었으면 하구요.
> LCD 모니터 연결해도 상관없는지도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위 2가지 제품다 좋은 제품들입니다.

D-Link 제품은 USB 포트가 하나더 있어서 사용하시는데
더 편리하리라고 생각됩니다.

해상도 및 LCD 지원여부 다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안태나에 관해서 질문입니다...

> 김건우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수고하십니다.
>
> 저기 안태나 탭을 보니깐 지향형과 무지향형이 있는데 차이점이 무엇 인가요??
>
> 그리고 안태나를 달면 확실희 거리가 나오고 만족할만한 성능이 나오는지요...
>
> 제가 생각하고 있는것은 전에 말씀드렸듯이 30~40m 를 공유할려고 합니다.
>
>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지향성과 무지향성의 차이점은 수평상의 방향 및 각도차이입니다.

지향성은 방향을 잘 맞춰주셔야 하며 무지향성은 각도를 잘 맞춰주셔야 합니다.

먼거리 일수록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무선으로 30~40m 사용은 안테나를 사용안하셔도 되며
만약 장애물의 영향이 크다면 사용하셔야 합니다.

안테나의 필요성은 수신거리 확장의 개념이기에 속도와는 큰 상관이 없습니다.

장애물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으시면 안테나를 사용안하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KVM 스위치 관련 문의

> 이상묵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안녕하세요
> KVM 스위치를 한개 구매하려고 하는데요...
> D-Link DKVM-2KU [2포트 KVM 스위치]와 ATEN CS-82A
> 둘 중에 어느것이 성능이 우수한가요?
> 아니면 다른 추천해주실만한 상품은 없는지요?
>
> 사용처는 서버용이 아닌 일반 PC 2대입니다.
> 모니터 해상도는 1280*1024이상은 지원해주었으면 하구요.
> LCD 모니터 연결해도 상관없는지도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위 2가지 제품다 좋은 제품들입니다.

D-Link 제품은 USB 포트가 하나더 있어서 사용하시는데
더 편리하리라고 생각됩니다.

해상도 및 LCD 지원여부 다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안녕하십니까?안테나에 대해서 문의좀

bkn269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안테나 중에 지향성과 무지향성이있는데
> 무슨차이가있나요?
> 그리고 안테나는 무엇을 보고사는지...
> 40평아파트인데 공유기와 무선랜설치할 컴퓨터간의 거리는
> 직선11M정도에 벽2개와 그 벽 사이 화장실이있는데
> 공유기에 딸려나오는 안테나로는 여러모로 지장이있을거같아
> 따로 안테나를 사려고하는데 어떤제품을 쓰는게 좋을지...
> 안테나 종류가 너무 많아서;;;
> 귀찮으시더라도 답변부탁드립니다
> 수고하십시요^^


안녕하세요.
안테나의 지향성과 무지향성의 차이는 빔의 확산이 어떻게 되느냐에
차이 입니다.
지향성은 수평각이 제한적이고 무지향성은 수평각이 360도로
전방위로 퍼집니다.

일반적인 무선랜 제품으로 30~40평 정도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안테나는 장애물이 많은 지역에서 효과가 많이 떨어지므로 실내에서
안테나를 사용하시는 것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안테나 보다는 AP를 추가로 설치하여 리피터로 작동시키는 방법이
비용은 많이 들지만 성능이 우수합니다.

감사합니다.


무선랜, http:www.lanjangbi.co.kr

http:www.lanjangbi.co.kr

무선 구성 견적 및 문의

> 구매자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현재 본 건물과 떨어진 사무실 2곳
>
>
>
> |------------------사무실1
> 본건물---|
> |------------------사무실2
>
> 본 건물에서 사무실1거리는 200미터, 사무실2 거리는 100정도됩니다.
>
> 사무실 1,2에 인터넷을 하기위한 최적의 구성을 할려면
> 어떻게 해야할까요
> 사무실1과 2의 PC는 각각3대 이고 본건물에는 인터넷 가능한 스위칭 허브
> 설치되어있습니다.
>
> 제가 생각한 구성은 아래와 같은데 이렇게 해도 되는지 모르겠네요
> 아님 더 좋은 다른 방법이 있는지
>
>
> |------------------사무실1(AP+무선공유기)
> 본건물-------------|
> (무선공유기 OR AP) |------------------사무실2(AP+무선공유기)
>
> 아 물론 거리상 안테나도 설치해야겠죠
>
> 답변 부탁드립니다.
>
>
>


안녕하세요.

무선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본 건물에 2대의 AP(브릿지용도 사용)를 설치하고
각 건물에 AP(브릿지용도)를 설치하여 1:1:로 연결을 하면 됩니다.

즉. 본건물 : 사무실1 (1:1 브릿지연결)
본건물 : 사무실2 (1:1 브릿지연결)
로 하시면 되겠습니다.

위와 같은 경우에 두 건물 사이에 장애물이 없어야 합니다.
안테나와 장비의 가격을 계산해 보면 지점당 단가는 30~40만원 가량 됩니다.

각 건물에 필요한 장비는 AP(브릿지용도) 와 12dB 지향성 안테나, 안테나케이블, 낙뢰방지기
가 필요합니다.

위에 말씀드린 내용이 설치하고자 하는 의도와 맞으신다면 팩스번호를
남겨주시면 견적서 작성하여 보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IEEE1394 네트워크 연결시..

> 우준희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현재 7대의 컴퓨터를 연결한 상태입니다(공유기+4포트허브)
> PC간 내부 네트워크를 IEEE1394로 연결시 현상태(공유기+허브)보다
> 더 빠른 전송속도가 나올수 있는지요..(PC간 1G급 파일전송을 많이합니다)
> IEEE1394허브를 통해 7대의 1394 네트워크를 구성한다면 속도의 차이는 없을까요..
> 답변부탁드리겠습니다.
> 수고하시구요..


안녕하세요.

시중에 판매되는 1394 허브는 USB 허브와 마찬가지로 포트의 수를
늘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1394는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없습니다.

네트워크를 고속으로 업그레이드 하시기 위해서는 기가비트 이더넷을
도입하시면 됩니다.

공유기 하단에 8포트 기가비트 허브를 연결하시고 CAT5e나 CAT6 케이블을
이용하여 각 PC에 기가비트 랜카드를 설치해주시면 기가비트 이더넷으로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기가비트 랜카드 질문입니다.

김창환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슬림케이스를 사용중인데 내장랜카드가 말썽이어서 질문드립니다.
>
> 기가비트 랜카드 중 LP 형 브라켓을 구할수 있는 제품이 있나요?
>
> 단, 가격이 너무 비싸지 않았으면 합니다. 가정용이라서요.
>
> 기가비트를 지원하는 제품이 없다면 그냥 10/100M 중에서 구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D-Link 랜카드 제품에는 LP 타입 브라켓이 다 포함되어 있습니다.
(10/100Mbps 및 기가비트제품 포함)

D-Link 제품으로 구매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감사합니다.

랜카드, 네트워크, http:www.lanjangbi.co.kr

http:www.lanjangbi.co.kr

무선랜 환경을 구축하고 싶은데 어떤 제품을 써야 할까요?

둘레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에이엘테크 200a를 쓰고 있는데요,(이 제품은 아주 만족스럽게 썼어요.)
> 케이블 모뎀이고, 지금은 제 방에 2대, 거실, 동생방
> 이렇게 네대에 연결해서 잘 쓰고 있습니다만,
> 연로하신 부모님께서 랜 케이블에 자꾸 걸려 넘어지셔서
> 무선랜으로 환경을 바꾸려고 합니다.
>
> 문제는, 제 방에서 거실과 동생 방까지 도달하는데
> 콘크리트 벽 2개씩이 가로막고 있거든요.
> 집의 넓이는 40평 정도라서 넓이는 관계가 없을 것 같은데요.
> 이럴 때는 어떻게 무선랜 환경을 만들면 될까요?
>
> 또, 200a를 활용해서 AP만 설치하는 방법도 있나요?
> 가능하다면 AP를 제 방 밖의 거실쪽으로 잡아 빼서
> 직접 혹은 벽 하나만 통과하면 되도록 만들 수 있겠는데요..
> 이거 집 구조를 그려 드릴수도 없고 설명하기가 좀....
>
>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유선인터넷공유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무선랜을 도입하시려면 2가지
장비가 필요합니다.

무선중계기(AP)와 각 pc에 무선랜카드 입니다.

GW-200A와 무선중계기를 유선으로 연결하시고 각 PC에서 무선랜카드를
이용하여 무선랜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무선랜은 장애물 영향이 많이 받기 때문에 질문의 내용대로 무선AP를
거실쪽으로 빼내어 설치하시면 장점이 많습니다.

좌측 [무선]공유기/AP 분류에서 AP 상품을 구입하시고
각 PC에 무선랜카드를 구입하여 설치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공유기, 랜장비, http:www.lanjangbi.co.kr

http:www.lanjangbi.co.kr

KVM공유기 질문입니다!~

> 제피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KVM공유를 구입하려구 합니다..
> 근데 키보드랑 마우스공유만 하려구하거든요..
> 모니터는 2대로 사용하고
> 이렇게도 사용가능하죠??


안녕하세요.

물론 가능합니다.

키보드와 마우스만 연결하여 공유하셔도 괜찮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무선 Access Point의 최대 거리는 얼마입니까?

박종선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무선 Access Point의 최대 거리는 얼마입니까?
>
> 기상업무의 특성상 산이나 들에 온도측정계와 습도측정계같은 장비를 설치하여 측정을 많이 합니다.
>
> 데이터는 텍스트 데이터들 이고요 크기는 작습니다.
>
> 그러한 장비들을 aws라고 하는데 문제는 이 장비가 아주 고가이고 또 설치도 까다로와서 문제가 많습니다.
>
> 가장 큰 문제는 유선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산이나 들에 설치를 할 수 없습니다.
>
> 그래서 간단한 온도와 습도센서, 또 가능하다면 웹카메라를 부착한 무선인터넷 장비를 산이나 들에 설치를 하고 싶습니다.
>
> 문제는 무선 장비의 거리가 짧다는 것입니다.
>
> 제가 만들고자 하는 것은 산이나 들에 측정센서를 부착한 장비를 1Km 간격으로 설치를 하고 이 장비들에서 측정한 결과를
>
>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수집을 하고 싶습니다.
>
> 이러한 것이 가능한지요?
>
> 가능하다면 어떠한 솔루션이 있는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AP 자체만으로 따지면 장애물이 없는 환경 직선거리에서는
최대 100미터 까지는 나갑니다.
하지만 무선랜전파는 주변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기때문에
그만큼 거리는 짧아집니다.

거리를 확장하려면 실외지향성 및 실외무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셔야 하며 최대 10킬로미터가 가능한 안테나도 있습니다.
그러나 장애물의 영향을 받으면 송수신 거리는 떨어지며
기본사양은 이론적인 수치입니다.

거리에 맞춰서 AP를 중간 중간 설치해주시면 브릿지 및 리피터
기능을 통하여 무선 송수신이 가능하며 주변환경을 잘 고려하시어
설치하셔야 합니다.

위 내용대로는 설치는 가능하나 완벽한 송수신은 보장을 못하고
가격대 또한 굉장히 많이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거리 500m 정도에서 인터넷 공유?

안녕하세요

가능은 합니다.
하지만 정확히 100m 를 유선으로 연결하신다면
손실율이 있기때문에 속도저하는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만약 유선으로 하실꺼면 CAT.5E 케이블(최대 150m)로 사용하실 것을
권장해드리며 속도저하 부분은 고려하셔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손성만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100M 정도의 유선을 만든후에는 두 지점간의 무선 안테나가 정확히 보입니다.
> 메가패스 인터넷 연결집에서 100M 정도의 유선으로 해서 무선 안테나를 연결해서 두
> 지점간의 무선 안테나를 보이게 해서 할수 있는 방법이 없는지요?
>
> 감사합니다.
>
> > 관리자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 > 안녕하세요
> >
> > 동산이 두 지점간 안테나 설치지점을 가로막아서 안테나끼리
> > 가시거리에 들어오지 않는다면 송수신이 불가능합니다.
> >
> > 안테나끼리 서로 보여야지만 원할하게 송수신을 할 수 있습니다.
> >
> > 감사합니다.
> >
> >
> > > 손성만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
> > > 안녕하세요
> > >
> > > 동산 높이는 10-20M 정도 입니다
> > >
> > >
> > >
> > > 관리자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 >
> > > > > 손성만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 > >
> > > > > 안녕하세요.
> > > > >
> > > > > 저는 지방에서 컴퓨터 대리점을 운영하고 있는 업자입니다.
> > > > > A지점에서 B지점간의 거리가 약 500M 정도인데 중간에 조그만 동산이 하나 있습니다.
> > > > > 동산 위에서는 A,B지점간의 다른 장애물은 거의 없습니다.
> > > > >
> > > > > 무선에 필요한 장비와 견적을 알고 싶습니다.
> > > > >
> > > > > 메가패스 라이트 사용하고, 공유대수는 토탈 2대, 신호는802.11b,g
> > > > >
> > > > > 감사합니다. 답은 메일로 부탁드립니다.
> > > >
> > > >
> > > > 안녕하세요
> > > >
> > > > 동산의 높이가 어느정도인지 궁금합니다.
> > > >
> > > > 우선 500m 지점간을 연결하려면 실외안테나를 사용하셔야 하며
> > > > 가급적이면 두 지점간의 안테나가 직선거리 및 거리 중간에
> > > > 장애물이 없어야 송수신이 원할합니다.
> > > >
> > > > 필요한장비로는 안테나와 AP가 각각 2대씩 있어서
> > > > 브릿지 모드로 사용하셔야 하며 아래링크는 권장제품입니다.
> > > >
> > > > http://www.lanjangbi.co.kr/shop/shopdetail.html?brandcode=079001000003&search=&sort=order
> > > >
> > > > http://www.lanjangbi.co.kr/shop/shopdetail.html?brandcode=074007000004&search=&sort=order
> > > >
> > > > 중간장애물이 큰 변수입니다.
> > > >
> > > > 거리상 높은 dB 제품을 사용하여야 하나 각과 폭이 좁아진다는 단점이
> > > > 있기에 중간 장애물에 대한 체크를 잘하셔서 제품을
> > > >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 > >
> > > > 감사합니다.
> > >
> > >
> >
> >
>
>

시리얼포트(rs-232c) 공유 가능할까요?

문의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시리얼포트에 연결되어 사용되어지는 장비가 있습니다.
> (CID발신확인 장치와 컴퓨터와 연결)
>
> TV 안테나케이블처럼 공유를 해서 2대의 컴퓨터에 각각 시리얼포트로
> 분배를 해서 연결이 가능할지 해서 문의드립니다.
>
> 그러한 장비도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
> 네트워크 전문가에게 자문 구합니다.
> 있다면 가격대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래 링크를 가시면 시리얼 자동 공유기가 있습니다.

http://www.lanjangbi.co.kr/shop/shopdetail.html?brandcode=015010000001&search=&sort=order

제품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시고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연락 주십시요.

감사합니다.

무선라우터와 AP 의 차이점

무선랜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제가 집에서 무선인터넷 공유를 하려합니다.
>
> 집에 VDSL 외장형모뎀으로 신호가 들어오고
>
> 현제는 그것을 유선라우터를 통해 인터넷 공유를하고 있습니다.
>
> 그래서 무선라우터를 사서 집안에서 여러대의 컴터로 동시에 인터넷을 하려하는데요
>
> 궁금한게있습니다.
>
> 무선라우터와 Access Point 의 차이점은 뭔가요?
>
> 제가 무선라우터를 사야합니까 아님 AP 를 사야합니까?
>
> 그리고 신호는 AP랑 라우터랑 누가 더 강합니까?
>
> 유선으로 인터넷 들어오는 방에서부터 제방까지 거리가 좀 멀고, 또 사이에 벽이 3개나 있어서요
>
> 제방에서도 안끊기고 잘 할라면 신호 쌘걸로 사려합니다.
>
> 멀리 가는거보다 벽을 잘 뚫는 걸로여
>
> 회사마다 차이가있을거같든데 추천좀해주세요.
>
> 제가 사촌형네 가서 링크시스 무선라우터를 봤는데여, 1층에서는 잘 터지지만, 2층올라가니 아주 안좋더군요
>
> 자꾸 끊기고.. 됬다안됬다 그러고
>
> 그래서 실망해서 더 쎈걸로 사려합니다.
>
> 아, 그리고 요즘 듣자하니 ISP 회사에서 인터넷 공유를 못하게 차단다한다고 하던데요
>
> 그래서 라인 하나신청하면 한컴터만 인터넷 가능하게 막는다고 하던데, 그렇게 되면 무선라우터를 사도 인터넷 공유가 불가능하게되는건가여?
>
>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
>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무선공유기와 AP와의 큰 차이점은 인터넷공유기능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1회선으로 여러대의 PC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터넷공유기능이
필요하므로 이런 경우에는 유무선공유기를 구입하시면 됩니다.

두 제품모두 무선 중계 기능이 내장되어 있고 무선출력이나 성능은 큰 차이가 없습니다.

무선랜의 경우 안테나를 이용하여 빔을 특성있게 보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층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1층으로 신호를 보내기 위해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안테나 확장이 가능한 제품으로는 링크시스 디링크 버팔로 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무선 랜 공유기 수신거리와 장애물에 대해

랜거리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집에 유무선 공유기를 설치하려합니다.
>
> 집은 59평 아파트이고, 현관문 바로옆방에 공유기를 설치하여 제방까지 하려하는데여
>
> 제방과 공유기있을 방은 끝에서 끝입니다. 두 방 사이는 콘크리트 벽이 막고있고요
>
> 방문은 직선상이 아니라 별로 도움이 안될듯 하고요
>
> 벽은 3겹쯤 되는데여.
>
> 일반무선공유기로 제방까지 송신을 잘 할수있을까여?
>
> 그리고 추가로 안테나를 산다해도, 벽을 뚫는데는 별로 좋을것같지않는데 어떨까여?
>
> 성의있는 답변 부탁드립니다. 거리가 얼마나 되는지 또 얼마나 장애물을 잘 뚫는지를 몰라서 그럽니다.
>
> 아 그리고, 참 수신하는 컴퓨터는 노트북이고 내장형무선랜을 갖고있습니다.
>
> 그래서 외장형보단 아무래도 수신률이 떨어지고요.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60평 정도에 일반 유무선공유기를 구석에 설치했을 때 반대쪽 구석에서는
무선랜을 사용하시기에 어려울 것으로 생각됩니다.
보통은 30~40평 정도에서 무난하게 작동이 되는 것을 봤을 때 60평 정도면
거실정도까지 신호가 잡히리라 생각이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안테나를 추가로 설치하여 수신거리를 보정하거나
거실쯤에 무선중계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무선영역을 더 넓혀 줄 수 있습니다.

장애물이 많은 지역에서 권장하는 방법은 무선중계기를 추가로 설치하여
리피터모드로 설정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무선랜카드도 안테나와 기본출력에 따라 수신거리가 차이가 있습니다.
송신부와 수신부에 모두 안테나를 장착하여 주시면 무선품질을 더 높여 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랜테스터기에 대해서 문의드립니다.

syu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 랜테스터기 중에서 단순히 새로만든 랜선의 양쪽을 테스터기에 연결
> 해서 확인하는 거 뿐만아니라, 허브나 아울렛에 연결돼 있는 랜선의
> 다른쪽(컴퓨터랜카드에 연결되는 쪽)을 테스터기에 연결해 허브나
> 아울렛에서 신호가 제대로 들어오는지 알 수 있는 테스터기도 있나요?
>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기능을 할 수 있는 테스터기는 아래 링크에 가시면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랜케이블 테스터기는 케이블의 단선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합니다.

http://www.flukekorea.co.kr/product/pro_main_item.php?cat_code1=5&cat_code2=33&cat_name2=케이블%20측정기

감사합니다.

AP와 AP의 연결이 가능한지요~?

문승택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벽을 사이에 두고 두 곳을 연결하려 합니다...
>
> 그런데... 유선을 쓸 수 없어서...
>
> 부득이 하게 AP를 양쪽에 두고 서로 통신을 하려합니다...
>
> 한쪽 AP는 라우터 단에 물리게 되겠고~
>
> 다른쪽 AP에는 다시 허브를 물리겠져~
>
> AP와 AP가 통신이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두 대의 AP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2가지 방법이 있으며 차이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브릿지 모드 설정 : 클라이언트 PC(무선랜카드 사용자)는 접속할 수 없고
AP 끼리만 통신을 합니다.

리피터모드 : 클라이언트 PC 접속이 가능합니다. 장비의 대역폭이 반으로 줄어들어
속도가 1/2 로 줄어들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무선 수신 거리 증폭할 수 있나요?

수신거리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안녕하세요.
> 이번에 유무선공유기를 구입했습니다.
> 에이엘태크 2000 모델을 구입했는데
> 옆 건물 사람과 같이 인터넷을 할려고 구입했습니다.
> 거리는 약 20M 쯤 되고 창가에 설치를 해둔상태입니다.
> 창은 2개로 되어 있고 약 대각선 20미터 옆 건물에 다른 사람이
> 인터넷을 해야 하는데 신호가 안잡히네요...
> 복도로 나가면 잡히는데 철문을 닫고 방안으로 들어가니 신호가 안잡히네요.
>
> 무선장비를 보니 안테나가 있던데 무선AP에 있는 2개의 안테나 중 하나를
> 지향성 안테나로 교채한다면 무선 수신거리를 좀 더 높일수 있을까요?
> 신호가 조금만 더 멀리 나가주면 되는듯 한데.
>
> 아니면 같은 AP를 하나 더 구입해서 옆집에 설치를 해야 하는겁니까?
>
> 어떻게 하는게 가장 효율적인지 모르겠네요...
> 랜장비에서 도와주세요...
> 부탁합니다.


안녕하세요~!!!

철문을 닫으면 안된다고 하시니 무선전파가 철문으로 인하여
수신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무선랜카드 쪽이나 AP 쪽에 지향성 안테나를 설치하면
수신거리는 넓어지나 장애물로 인하여 그리 큰 효과는 못 볼것 같습니다.
(철문 등등...)

우선 철문으로 인하여 수신이 안되는 부분을 해결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안테나는 실내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안테나 설치시는 지향성이기에 방향을 잘 맞춰주셔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레이어 3

정관호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스위치 허브에
> 레이어 3 기능을 지원한다는 소리가 무엇인지....


안녕하세요

다소 복잡한 내용이지만 아래글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듯 싶습니다.

레이어3 스위치는 보통 IP라우팅 기능이 있는 스위치라 볼 수 있습니다.


----------------------------------------------------------------------------
OSI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 접속


OSI[오에스아이]는 통신 네트웍으로 구성된 컴퓨터가 어떻게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가에 대한 표준규약 또는 참조 모델이다. 이것의 목적은 통신 제품을 만들 때 다른 제품과 모순됨이 없이 통신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 참조 모델은 통신의 종단에서 이루어지는 기능을 7 계층으로 정의했다. OSI가 잘 정의된 계층마다 관련된 기능을 따르도록 강하게 고수하지 않아도, 대부분의 제품들은 OSI 모델에 관련된 정의들을 따르기 위해 노력한다. OSI 모델은 또한 모든 사람이 동일한 관점에서 통신에 대해 교육하고, 논의하는 유일한 참조 모델로서 중요한 가치가 있다.

주요 컴퓨터와 통신 회사 대표자들에 의해 1983년부터 개발이 시작된 OSI는 본래 인터페이스 사이의 상세 규정을 시도했다. 그러나 위원회는 다른 것들 간에 상세 인터페이스 규정을 개발할 수 있는 공통의 참조 모델을 확립하기로 결정하였으며, 그것은 표준이 될 수 있었다. OSI는 ISO에 의해서 국제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현재, 이것은 ITU의 권고 X.200 이다.

OSI의 주된 개념은 통신 네트웍으로 구성된 두개의 종단 이용자 사이에서, 통신 처리를 각 계층이 가지고 있는 특별한 기능을 가지고 계층별로 나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각 통신 이용자는 7 계층의 기능을 갖는 컴퓨터를 이용한다. 이용자들 사이에 메시지가 주어지면, 컴퓨터에서 한 계층씩 아래로 각 층을 통과하여 데이터가 흐르게되고, 다른 쪽에서는 메시지가 도착할 때 메시지를 받는 컴퓨터는 한 계층씩 위로 통과하여 이용자에게 전달 될 것이다. 실제로 이러한 7 계층의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나 장치는 컴퓨터 운영체계, 웹 브라우저와 같은 응용프로그램, TCP/IP 또는 다른 트랜스포트 네트웍 프로토콜과 이용자의 컴퓨터에 구성된 회선을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가 함께 결합된다.

OSI는 7 계층으로 통신을 나누는데, 이 계층들은 다시 2개의 그룹으로 나뉜다. 상위 4 계층은 이용자가 메시지를 주고받는데 사용된다. 네트웍 계층까지의 아래의 3 계층은 메시지가 호스트를 통과 할 수 있도록 한다. 컴퓨터에 보내진 데이터는 위 계층으로 전달된다. 다른 컴퓨터에 보내진 메시지는 위 계층으로 전달되지 않고 다른 호스트로 전달된다.

7 계층을 하나하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7 계층 : 응용계층 ... 이 계층에서는 통신상대, 서비스 품질, 사용자 인증과 비밀을 고려하고, 데이터 구문의 제약을 정한다 (이 계층은 응용 프로그램이 응용 계층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응용프로그램 자체는 아니다).
6 계층 : 표현 계층 ... 이 계층은 운영체계의 한 부분으로 입력 또는 출력되는 데이터를 하나의 표현 형태에서 다른 표현 형태로 변환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텍스트로 도착한 데이터를 팝업 윈도우 형태로 변환하는 것이다). 표현 계층을 문법 계층이라고 하기도 한다.
5 계층 : 셰션 계층 ... 이 계층에서는 종단 호스트 프로그램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받기 위한 설정을 하고, 데이터를 받는 동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 계층은 통신 세션을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4 계층 : 트랜스포트 계층 ... 이 계층은 종단간 제어와 에러를 관리한다. 즉,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한다.
3 계층 : 네트웍 계층 ... 이 계층은 데이터 경로를 제어한다 (패킷이 정확한 수신자에게 보내지도록 올바른 경로는 제어하여 수신 쪽에서 받을 수 있게 한다). 네트웍 계층은 경로를 설정하고 다른 쪽으로 전송한다.
2 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이 계층은 물리적 레벨의 에러 제어와 동기를 제공하고, 5를 초과하는 1의 스트링으로 비트화한다. 이 계층은 전송 확인과 관리를 담당한다.
1 계층 : 물리 계층 ... 이 계층은 전기 기계적으로 체계를 갖춘 네트웍을 통하여 비트열을 나른다. 이 계층은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하드웨어 수단을 제공한다.
-----------------------------------------------------------------------------------

장비문의

uron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건설현장에 네트웍 설치를 하려고 하는데요
>
>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
> 컨테이너 사무실이 3개있구요 중심 컨테이너에 인터넷회선이 들어오는데요
>
> 실내는 일반적으로 유선으로 연결을 하고싶고요 컨테이너와 컨테이너 연결만
>
> 무선으로 연결이 가능한지 알고싶습니다.
>
> 중앙 컨테이너에 공유기가 놓이구요 두개의 컨테이너엔 허브를 놓을껀데요
>
> 즉 공유기와 외부 허브를 무선으로 연결하는것이 가능한지 알고싶습니다.
>
> 외부 허브에서는 각 컴에 다시 유선으로 깔리는거구요..
>
> 가능하다면 어떤 장비를 써야 하는지 알려주세요..
>
> 주의해야 할사항이 있다면 같이...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컨테이너 끼리의 거리가 얼마나 되는지 궁금하군요
거리가 멀지 않다면 컨테이너 창가쪽에 공유기 및 AP를
설치하시면 가능합니다.

거리가 멀고 장애물이 존재할 시는 실외안테나를 컨테이너
윗부분에 따로 연결해주셔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유무선 공유기 1대
컨테이네별로 들어갈 AP 2대 및 스위치허브 2대가
있으면 됩니다.

연결구성은 가능하며 가급적이 내부쪽으로 설치해주시는게
좋습니다. 외부쪽으로 나가면 비용도 많이 들며 관리도
따로 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무선랜에 관한 질문입니다

> foulbaba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그러면.건물사이에 창문이 있는데 창문쪽으로 가게 무선랜을 연결하면
> 인터넷연결이 될수도 있겠습니까?
> 그리고 안테나에 db라는 단위가 있던데...4,8db정도면 어느 정도 성능
> 이 나오는지...


안녕하세요.

창을 통해서 서로 볼 수있는 위치에 있다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유리창도 장애요소이나 손실이 크지 않습니다.

4dB 정도는 약 50~100미터 정도 연결에 적당하다고 생각되며
8dB 정도는 약 200미터 정도 거리에 연결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장애물이 없는 경우에 위와 같이 먼거리에서 송수신을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무선랜 문의입니다

550) this.width = 550" name=img_board>
> nogarizzang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현재 3COM AP한대가 설치되어있습니다.
> 그런데 또 한곳이 거리가 멀어 감도가 약해 AP를 한대 더 놓으려고 합니다.
> 여기서 새로 설치할 AP를 허브와 연결해서 각 PC와 통신하게 하고자 합니다.
>
> 즉, 각 컴퓨터에는 무선랜카드 없이 기존 허브와 유선으로 연결되 있고
> 허브와 새로운AP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 기존 AP에서 새로운 AP로 네트워크 신호를 보내는 것입니다.
>
>
> 이런구성이 가능한지.그리고 그에 따른 추천하시는 제품은 무엇인지
> 궁금합니다.
>



안녕하세요.

첨부된 그림을 참고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메인에 스위치를 기점으로 각 층에 AP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림에는 층간을 예로 들었으나 nogarizzang 님의 질문 내용은

멀리 떨어진 곳에 추가 AP를 설치하는 것입니다.

말씀하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별 다른 기능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메인허브에 여유포트를 추가설치하실 AP와 연결하여 주시고

AP의 설정을 적용해 주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AP를 이용한 무선랜 사용법에 대한 질문

칼잡이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안녕하세요
> 이곳에서 넷기어 MR814를 구입하여 유선과 무선 인터넷을 하였는데
> 속도가 너무 느리고 또 연결이 되지 않는 날이 많아 제품을 직접 본사에서 교환까지 받아
> 해보았으나 역시 차이가 없습니다.
> (참고로 사용중인 인터넷업체는 단지넷이고 LAN방식입니다)
> 공급업체와 넷기어에 모두 설정방법을 물어서 해보았으나 되는 날 보다 안되는
> 날이 더 많다보니 이제는 포기하고
> 사무실에서 쓰는 AP (lucent tech의 orinoco USB client GOLD)를 집에서 이용해 볼까
> 생각이 들어 여쭤봅니다.
> 랜선을 직접 데스크탑에 연결하고 이 Ap를 USB로 연결한 후 센트리노 노트북으로 무선인터넷
> 을 할 수 있을런지요
> 가능하다면 설정은 어떻게 해야하고 데스크탑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무선랜을 할 수 있을런지요
>
> 조언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데스크탑을 꺼 놓은 상태에서 여러대의 pc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인터넷공유기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그 기능을 하는 장비가 현재 보유하고 계신 MR814 제품입니다.

lucent tech의 orinoco USB client GOLD 제품은 무선랜카드 입니다.
AP로 작동시킬 수 없습니다.

제품의 작동불량 증상에 무선랜만 자주 끊어지시는지 아니면
공유기 자체가 끊어지시는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제품에 불량 증상이나 사용중인 통신과 호환성에 문제가 있는 경우
다른 제품으로 설치하여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utp 케이블에 대해서

컴사랑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utp 케이블이 cat 3,5 등 여러가지로 나뉘는 걸로 알고 있는데
> 상용용도가 궁금하여 문의 드립니다.
> 속도는 어떤게 빠른지 또 각케이블 마다 특별한 사용용도는 있는지..



[랜장비]입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utp케이블은 cat5입니다..cat3는 근래에
전혀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며 케이블의 특성이 5가 더 좋아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시 유리합니다..cat5에 이어 cat6도 기가비트
구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전 10M 제품을 사용시 --- CAT3

현재 10/100/1000M 제품을 사용시 --- CAT5 , 5E

근래 1000M 제품을 사용시 ---- CAT6

http://www.lanjangbi.co.kr/

utp 케이블 200m 설치

utp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허브에서 컴까지 utp 케이블 옥외로 설치를 했습니다...
> ping 테스트 결과 신호는 날아옵니다...
>
> 그러나, 가끔씩 끊기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 선 가운데 허브는 설치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 전봇대를 타고 설치했습니다...
>
> 허브나,컴에서 다른 장비를 사용하여 신호가 연속적으로
> 이루어 지도록 하는 방법은 없습니까???
>
> 스위칭 허브로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옥외설치로 인하여 간섭현상이 일어나서 그런 것 같습니다.
옥외용 UTP 사용과 주름관을 씌어야지만 간섭현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길이의 문제는 중간지점쯤에 스위치허브(파워내장 렉타입)를
이용하시면 가능하지만 중간지점에 설치할 수 없다면 어려운 점이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ap를 쓰고 싶은디....

> 초보맨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안녕하세요
> 공유기에 ap를 하나 추가하고 싶은데요
> 일하는 곳은 링크시스 집은 넷기어 공유기를 사용중입니다
> 구석에서도 인터넷을 잘사용하기 위해 ap를 추가할까합니다
> ap의 용도는 리피터로 쓰고 싶은데요
> 두곳에서 모두 사용 가능한 것이 있을까요
> 링크시스ap는 링크시스랑만 통신이 가능하다고 하던데요
> 그럼 넷기어ap도 넷기어 끼리 가능한가요
> 회사를 가리지 않는 ap는 없나여?
> 답변 부탁드립니다


[랜장비]입니다.
ap는 말그대로 무선중계기입니다..기존에 공유기를 사용을 하신다면
이들 제품과의 호환성에 문제는 없으며 안심하고 쓰셔도 됩니다.
다만 리피터로 사용시 어느정도의 성능저하는 있을수 있으니 어떠한
환경으로 구성을 하시는지 자세한 상담을 받으신 후 구매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안테나종류를....

> lsc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답변 감사합니다. 수신율를높이려면 안테나를 설치 하라셨는데,
> 넷기어WGR614v4 제품은 안테나가 분리않된다구 하셨는데,
> 그럼 무선 랜카드의 안테나를 분리하구 세로운 안테나를 설치하라는
> 말로 이해했습니다..그럼 안테나는 어떤것,,종류의것를 설치하는게
>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공유기쪽에 안테나를 장착할 수 없다면 pc 랜카드에 안테나를 장착하셔도
괜찮습니다.
바로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는 상품은 WM-06 제품입니다.
안테나는 안테나의 GAIN(안테나이득)에 따라 제품이 다양하며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것과 케이블을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상품이 있으니 구입시 주의 하십시요.

PC 랜카드에 설치한다면 지향성 안테나가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3com 허브 문의 드립니다.

> 김승환 님께서 쓰신글 입니다.
>
>
> 24p 3C16471 Switch 와 구형모델 SuperStack II Switch 610 24 port
>
> 어느 장비가 더 좋을까요?
>
> SuperStack II Switch 610 24 port 두대로 40대의 컴을 돌리고 있습니다
> 두배로 확장하려 하는데 중고라도 SuperStack II Switch 610 24 port
> 두개 구해서 물리는게 나을지 아님 24p 3C16471 Switch 구해서
> 2대 2대 물리는게 나을지...
>
> 아니면 다 처분하고 24p 3C16471 Switch 4대로 운영하는것이 효율적일지
> 어떤것이 가장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할지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
> 미리 감사드리고 감사의 뜻으로 네트워크장비는 이곳에서 구입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SuperStack II Switch 610 24 스위치는 10Mb를 지원하는 스위치로
최근에는 100Mb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니 10M를 지원하는 스위치를
구입하실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말씀 하신 모델의 경우 단종제품으로 a/s 지원이 어려우니 구입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현재 pc방으로 많이 판매되고 있는 상품은 3C16471 제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으며, 대신할 수 있는 상품으로는 넷기어 FS-524 제품이나 디링크 DES-1024R+
제품이 있습니다.

더 좋은 구성방식은 24개의 100Mb 포트와 1000Mb를 지원하는 포트가
내장된 스위치를 이용하여 허브간 통신은 1000Mb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가능 모델은 넷기어 FS-526T 모델과 3COM 3C17300 모델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150M 거리 연결 방법

수고많습니다.150M의 거리를 랜선으로 연결하는 방법에 어떤것이 있는지요?중간에 리피터를 달아서 사용하는 방법을 들었는데홈페이지에서 리피터를 찾을 수가 없군요.방법을 알려 주세요.


---------------

안녕하세요.150m의 거리를 연결하기 위해서 과거에는 리피터와 같은 제품을 사용하였지만최근에는 제품이 나오지 않는 관계로 중간에 스위치허브를 연결하여리피터의 기능을 대체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좀더 안정적인 구성을 위해 파워서플라이가 내장된 16포트 이상의 허브를사용하실 것을 권장합니다.좀더 확실한 방법은 광컨버터와 광케이블을 이용한 방법으로 100m 통신시2km 까지 전송이 가능합니다.전화를 주시면 자세히 상담해 드리겠습니다.02-7989-114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700m의 거리를 무선으로 연결하고 싶습니다.

제목과 같은 질문을 드립니다.700미터의 거리를 무선으로 연결하고자 합니다.어떤 구성으로 가능한지요?


--------------------------

안녕하세요 랜장비입니다.우선 700m 사이의 주변환경을 자세히 알아야 합니다.지형의 높낮이, 주변건물 영향, 장애물 영향, 데이타 전송량 등복합적인 요소가 걸려있기에 자세한 환경을 알아야 무선구성의해답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기본적으로 브릿지 구성으로 합니다.전화연락 주시면 상담이 가능합니다. 02-798-9114감사합니다.
http://www.lanjangbi.co.kr/

스펙에서 baseline..?

스팩에서 베이스라인이라고 되있는건 무슨의미인지 알고싶어여 부탁점드려여..


-------->>>
3COM 제품의 BASELINE은 3Com 언매니지먼트 스위치의 제품군 명칭 입니다.

궁금하신게 해결이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